웃다리문화촌 로고

  1. 웃다리문화촌 안내
  2. 전시
  3. 전시 체험 프로그램
  4. 찾아가는 체험학습
  5. 대관
  6. 커뮤니티

EXHIBITION

전 시
현재전시

지난전시

조형예술연구

김동식 외 15인 [사유의 형태들展]

전시안내

전시명
김동식 외 15인 [사유의 형태들展]

기간
2022. 9. 3.(토) - 11. 27.(일)

작가
김동식 Dongsik Kim, 김소영 SoYoung Kim, 김은하 Eunha Kim, 김정아 Kim Jung Ah, 김하늘 Haneul Kim, 라디오비(심준보) Radiob(Shim Junbo), 물고기 Mulgogi, 박선민 Seon Min Park, 서희정 Hi-Jeong So, 세컨드비(정지은) SECOND B(Ji-eun Jung), 양대원 Yang Daewon, 은진표 Eun Jinpyo, 정채희 Jung Chae Hee, 정현철 Hyun Chul, Jung, 조정은 Jo Jungeun, 천인안 Chen Inan

전시소개

급격한 기후 변화가 다양한 환경문제를 가속 시키고 있다. 전 세계가 탄소중립 제로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환경과 미술을 접합시킨 예술인들의 활동도 지속되고 있다.

예술과 환경. 시대의 변화 속에서 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고민하는 예술가들은 스스로에게 던진 질문들에 답을 찾아가고 환경에 대한 사유를 탐구하며 예술활동을 하고 있다. 그들은 폐기물로 낙인된 물질들에 재료 본질의 가치를 재발견하여 제작 방법을 탐구하고 영감받아 지속가능한 순환고리를 만들어가고 있다.

우리는 지구에 살아가면서 공유공간에 대한 생각을 환기시키고 의식하며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어가야 한다. 환경문제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함께 고민해 나가며 실천하고 해결해야하는 과제임이 분명하다.

「사유의 형태들」展은 지속가능한 삶에 대한 지향점으로 물질의 순환에 초점을 맞추어 기획되었다. 누군가의 기준에서 사용기한을 다한 물질이 다시 자원이 되어 작가의 상상력을 거쳐 예술적 생명을 불어 넣은 리사이클, 업사이클 작품은 사회적 의미와 가치를 갖게된다.

김동식의 <최후의 바다 태평양, 낙원의 조건>은 태평양 사람들의 삶의 터전인 바다 자원을 선점하기 위해 거대 자본과 문명이 남획하여 태평양의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는 과정을 영상으로 담고 있다.

김소영의 <Exquisite Corpse>의 의자는 빠듯하게 혼자, 웅크려야만 누울 수 있다. 지나치게 화려한 색들과 꿈틀대는 욕망을 표현한 듯 뒤엉킨 형상을 보여주며 보이지 않는 곳에서의 치열함을, 혹은 치열하게 균형을 찾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김은하의 <Bon Appetit!-2>는 버려진 옷을 작품의 재료로 활용하여 빠른 일상과 쉬운 소비들로 인해 생겨난 패스트(Fast) 문화에 대해 고찰한 작품이다.

김정아의 <9시 46분>은 지구환경의 악화 상태를 시간으로 나타낸 환경 시계이다. 인간이 버린 바다 쓰레기로 이미지가 가득 채워지며,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볼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일깨워 준다.

김하늘의 <스택 앤 스택, 스툴>은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생명을 지키는 필수품인 마스크가 일회적으로 사용되고 버려지는 물질에서 다시 사용 가능한 의자로 제작되면서, 새로운 희망을 부여하였다.

라디오비 심준보의 <Stool 3.18 hours>는 분해되는데 약 500년의 시간이 걸리는 폐플라스틱을 재사용하여 3D 프린팅 작업을 진행한다. 일상의 가구로 만들어지는 5시간의 과정을 통해 500년의 시간을 없애고자 실천하는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적 참여이다.

물고기의 <비정형Atypical>은 일상생활과 제작 과정 중에 폐기되는 도자기를 분쇄한 후 점토와 재결합하여 새로운 형태로 제작된다. 울퉁불퉁하고 투박한 항아리는 사회가 요구하던 완벽함을 거부하고 재료의 선택부터 사물이 완성되는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최소화한다.

박선민의 <Re:Bottle vase series + Metal No.1>은 생활의 편리함을 위해 개발 중심으로 발전되어졌던 산업 공예품들이 현시대에서는 폐기물이 되어 환경 문제로 이슈가 되고 있다. 작가적 관점에서 이러한 문제를 바라보고, 폐기되는 유리병들을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리디자인하였다.

서희정의 <Upcycling>은 환경문제의 부정적인 생각들을 전환하여, 플라스틱 쓰레기가 자원으로써 활용되는 과정을 긍정적 이미지와 색감으로 표현하였다.

세컨드비 정지은의 <Wheel series. Pawn>은 버려지는 자전거의 부품으로 재조합된 오브제 작업이다. 자전거의 보급이 늘어남과 동시에 버려지는 자전거들의 낡은 부품을 교체하고 사용하는 재활용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과정에서 작가는 버려지는 소모품들에 기존 형태를 해체하고 조각들을 재구성하여 사용자가 사유(私有)보다 사유(思惟)하도록 고찰하였다.

양대원의 <왕의 노동>은 공장에서 주워온 오브제를 재조립하여 물질의 생성과 소멸에 대해 이야기하며 인간은 어떤 존재이고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는가?를 작품을 통해 질문하고자 한다.

은진표의 <SP(L)ACE>는 공간과 장소를 다차원적으로 변형하여 결합하고 그 속에서 인간의 원초적인 감정들을 이끌어 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재활용된 재료를 사용하여 산업현장의 흔적과 중첩된 공간의 구조를 경험할 수 있도록 공간을 재구성하였다.

정채희의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는 해양 쓰레기에 옻칠 작업을 시도한 설치 작품이다. 물고기들이 생태계의 심각한 오염으로부터 벗어나 궁극의 깨끗한 환경에서 본연의 자유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게 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투영하였다.

정현철의 <하늘을 나는 붕어>는 용도를 다하여 ‘쓸모없음’으로 분류되어진 폐 택배 상자에 ‘새로운 쓸모’의 형태를 만들어 낸다. 편리함만을 추구하는 일회용품 사용과 인간의 욕망이 만든 기후 변화를 작품을 통해 고민해 보길 권유한다.

조정은의 <레디메이드 인 행궁동 다실바 화분>은 ‘사물들이 본래의 역할에서 벗어나면 무엇이든 될 수 있다’는 지각을 통해 사물에 대한 자유로운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오래된 것들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작품으로써 계속 살아가길 바라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천인안의 <자연과 나>는 버려지는 자투리 원단으로 바람이 표류하는 바닷가 숲속 자연의 알 수 없는 모양을 시각화하였다. 소잉 작업을 통해 파노라믹 한 자연을 다양한 시점으로 감상되어 질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사유의 형태들」展은 회화, 콜라쥬, 오브제, 공예, 디자인, 설치, 아트 퍼니처, 영상 등 작가 16인의 다양한 현대미술의 방법들로 표현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전시 기간 동안 작품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관람자가 참여하여 함께 만들어가는 「관람자 참여형 전시연계 프로그램」이 SPACE 1, SPACE 2에서 상시 운영된다. 특히 10월 8일 11시 정채희 작가와 함께하는 「Workshop」은 관람자와 함께 해양 오염의 심각성을 인지하며 예술적 시선으로 표현하는 참여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또한 김정아, 라디오비 심준보, 박선민, 세컨드비 정지은 작가 4인과 함께 10월 15일 14시 「Artist Talk」을 개최하며 관람자들과 소통의 시간을 갖는다.